본문 바로가기

여정&흔적 그리고 모습531

두 아이들(가족) 가족 기러기는 하늘을 날아 갈 때 힘이 세고 나이가 많은 기러기가 울음소리로 가족에게 나는 방법을 가르친다고 한다. 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가 사랑이라면 가장 소중한 단어는 가족일 것이다. 가족은 끊을래야 끊을 수도 버릴래야 버릴 수도 없는 질긴 인연이다. 한평생 아버.. 2015. 9. 11.
노년의 지혜 2015. 9. 11.
조정래의 대하소설 [아리랑] - 제1부 『아, 한반도』 (1∼3권) 줄거리 조정래의 대하소설 [아리랑] 제1부 『아, 한반도』 (1∼3권) 줄거리 1권 * 역부의길 감골댁은 동학농민혁명에 가담하였다가 병을 얻고 숨어 지낸 남편의 약값으로 김가에게 18원의 빚을 지게 된다. 그러나 남편은 결국 죽고, 갚을 길 없는 빚 때문에 감골댁의 큰아들 방영근은 20원에 하와이 .. 2015. 9. 9.
최명희의 大河小說[혼불] 줄거리 [혼불 줄거리] 1930년대 말 전북 남원의 양반촌인 매안 마을. 매안의 그늘에는 이 씨 문중의 땅을 부치며 살아가는 상민 거멍굴이 공존한다. 매안과 거멍굴의 실질적인 지배자는 이 씨 문중의 종부(宗婦) 청암 부인이다. 청암 부인은 신랑 이준의와 혼인한 지 1년만인 열아홉에 청상이 되었.. 2015. 9. 9.
종부의 삶과 한을 그린 최명희 작가의 혼불을 찾아서....(남원 혼불문학관) 종부의 삶과 한을 그린 최명희 작가의 혼불을 찾아서....(남원 혼불문학관) 지금은 고인이 되신 소설가 최명희 선생을 기리는 남원 혼불문학관이 있다. 전북 남원시 사매면 552번지에 소재한 혼불문학관은 소설가 최명희(1947∼1998)의 작품인 혼불의 무대인 노봉마을에 조성된 문학관이다. .. 2015. 8. 24.
小說 太白山脈의 中心 벌교를 가본다 - 3편(終) 小說 太白山脈의 中心 벌교를 가본다 - 3편(終) 소설 태백산맥에서 묘사된 장소인 철다리, 회정리교회, 조정래 작가의 생가, 중도방죽, 회정리3구, 벌교상고, 선창, 경찰서, 벌교역, 장터거리, 차부, 남원장, 술도가 등 더 가보고 싶은 곳이 있지만 시간이 넉넉지 않아서 다음 기회에 미루기.. 2015. 8. 20.
小說 太白山脈의 中心 벌교를 가본다 - 2편 小說 太白山脈의 中心 벌교를 가본다 - 2편 점심을 먹을 시간이다. 벌교에 와서 무엇을 먹을까. 고민이 필요없을 것 같다. 꼬막정식으로 유명한 벌교의 먹을거리 어느 식당이 우리의 입맛을 즐겁게 해줄까 스마트폰으로 검색, 검색, 검색........ 식도락가들의 결론은 식당의 메뉴와 맛이 다.. 2015. 8. 19.
小說 太白山脈의 中心 벌교를 가본다- 1편 小說 太白山脈의 中心 벌교를 가본다 전라도 벌교 땅으로의 外出 벌교에 가면 눈으로 무엇을 보고 귀로 어떤 소리를 들을까. 벌교 사람들만의 억세고 끈질긴 삶. 그리고 넉넉함과 소박함이 오롯이 살아 있는 그들만의 삶. 외적으로는 약하면서도 내적으로는 강인한 벌교 사람들........ 그 .. 2015. 8. 19.
조정래의 大河小說 [태백산맥] 줄거리 조정래의 大河小說 [태백산맥] 줄거리 제1부 한의 모닥불 [1권~3권] 여순반란사건이 종결된 직후부터 1948년 12월 빨치산 부대가 율어지역을 해방구로 장악하는 데에까지의 과정이 그려져 있다. 소석의 첫 장면은 1948년 10월 24일 밤이다. 여순 사건과 함께 좌익에 의해 장악되었던 벌교가 다.. 2015. 8. 13.
당일치기 나들이 길 – 괴산 산막이옛길과 문경석탄박물관 당일치기 나들이 길 – 괴산 산막이옛길과 문경석탄박물관 언제 : 2015년 7월 31일(금요일) 어디를 : 충북 괴산 산막이옛길과 경북 문경시 가은읍 문경석탄박물관 그리고 가은철로자전거 타기 일탈에서 벗어나 가족과 함께 또는 친구와 함께 아니면 다정한 연인과 함께 정담을 나누면서 .. 2015. 8. 7.
[농사정보] - 고사리 재배법 고사리 재배법 1. 재배환경 고사리는 산이나 밭에 한차례만 심고도 여러 해 동안 계속 수확 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작물입니다. 고사리 재배는 산이나 경사진 밭을 잘 활용하면 좋다. 고사리는 양지에서 그늘까지 평지에서 고산지대 까지 어느 곳에서든지 잘 자란다. 다만 조금이라도 공해.. 2015. 6. 12.
[스크랩] 통조림 대신 생죽순 통조림 대신 생죽순 http://media.daum.net/v/20150611091208427 2015.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