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산줄기와만남/신경준과 산경표10

산경표 및 백두대간과 관련된 자료들에 대하여.... 산경표 및 백두대간과 관련된 자료들에 대하여.... 여기에 올려진 산경표 및 백두대간과 관련된 자료는 안강님의 홈페이지인 백두대간 첫마당에 수록되어 있는 자료들이며 사용건에 대하여 문의를 드렸던 바 使用하여도 좋다는 허락을 받았습니다. 좋은 資料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여 주신 안강님.. 2011. 6. 7.
지리학자이자 실학자인 여암 신경준... 그는 누구인가 지리학자이자 실학자인 여암 신경준... 그는 누구인가 우리 지역 전북 순창읍 남계리에 가면 신말주후손세거지가 있다. 이 곳은 조선후기에 우리 지리의 발달에 많은 공헌을 한 여암 신경준 선생의 생가이기도 하다. 여암 신경준 선생은 신말주 선생의 11대 후손이다. 신경준 선생은 조선.. 2011. 6. 7.
산경표와 백두대간(백두대간과 시적상상력) 산경표와 백두대간 양보경(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1. 조선 산의 족보, 산경표 산은 사전에 주위의 평지에 대해, 삼각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높이 솟아 있는 지형이라고 풀이되어 있다. 산은 고도의 높음과 인간의 접근의 어려움으로 인해 인간에게 신령함과 신비감을 느끼게 하며, .. 2011. 6. 5.
여암 신경준의 지리사상 여암 신경준의 지리사상 양보경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18세기의 지리학과 신경준 학문의 내용과 수준은 그 시대의 생활양식의 구조와 지식의 축적 속에서 형성된다. 조선시대의 자연과 공간, 지리에 대한 인식체계의 변화는 조선 사회의 생활양식의 변화와 지식의 축적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2011. 6. 5.
가벼운 만남 - 산경표 가벼운 만남 - 산경표 『산경표』(山經表)는 그 글자의 뜻을 풀어 보면 '산줄기의 흐름을 나타낸 표'라는 뜻입니다. 이 책에는 옛 문헌에 언급되고 지도상에 이미 표시되어 왔지만,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는 않았던 산의 계보를 도표로 정리하고 산줄기 이름을 붙였습니다.(산줄기와 갈래에 관한 내.. 2011. 6. 5.
산경표는 언제 누가 만들었나 『산경표』는 언제 누가 만들었나? 현 진 상 우리 것에 대한 눈뜸과 자연환경 보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백두대간에 대한 논의가 어느 때보다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요즘 논의하고 있는 백두대간은 『산경표』(山經表)라는 작은 책에 실린 이 땅의 산줄기 분류체계이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 2011. 6. 5.
신경준의 『산수고』와 『산경표』 신경준의 『산수고』와 『산경표』 - 국토의 산천에 대한 체계적 이해 - 양보경(규장각 특별연구원) 목차 1. 서언 2. 묻혀져 있는 지리학자, 신경준 3. 『산수고』 : 산천의 체계화와 전통적 자연지리학 4. 『산경표』 : 잃어버린 산줄기의 체계와 전통적 산줄기 이름 5. 맺음말 1. 서언 『산경표』를 펼치.. 2011. 6. 5.
『산경표』에 나타난 산맥 체계의 특징 『산경표』에 나타난 산맥 체계의 특징 『산경표』에 나타난 산맥 체계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줄기의 맥락과 명칭을 체계화하였으니, 산줄기를 1개의 대간과 1개의 정간, 13개의 정맥으로 분류하고 이름을 부여하였다. 신경준의 「산수고」나 『동국문헌비고』의「여지고」에도.. 2011. 6. 5.
산경표 읽기 산경표 읽기 백두대간 백두산(白頭山) 연지봉(檎脂峰) 허항령(虛項嶺) 보다회산(寶多會山) 사이봉(沙伊峰) 완항령(緩項嶺) 어은령(漁隱嶺) 원산(圓山:장백정간의 분기점) 마등령(馬騰嶺) 괘산령(掛山嶺) 황토령(黃土嶺) 천수령(天秀嶺) 조가령(趙哥嶺) 후치령(厚致嶺) 향령(香嶺) 태백산(太白山) 부전령(.. 2011. 6. 5.
『산경표』를 다시 펴내면서 『산경표』를 다시 펴내면서 하나의 문헌이 지니고 있는 사회적 가치는 시대의 변화와 필요, 재인식의 결과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다. 사회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던 문헌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고 그 반대로 무관심 속에 묻혀 잇던 자료가 새롭게 평가받는 경우도 있다. 『산.. 2011. 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