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45

상당산성 백오십리 숲길(충북 청주시, 증평군, 청원군) 2011. 5. 24.
산방산(경남 거제시) 2011. 5. 24.
칠은이골 높고, 넓고, 깊은 산은 아름다운 계곡을 빚어낸다. 맑고, 깨끗하고 물소리 이외에는 하늘마저 보이지 않는 곳, 당연 사람의 발길이 전혀 없는 그곳......... 주변으로는 청하한 숲을 간직하고 있고 수줍은 듯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곳이 있으니 칠은이골 계곡, 아니 다녀간 듯 조심스럽게 문을 두.. 2011. 5. 24.
고딩1의 체육대회 2011. 5. 24.
산경표에 나오는 지명 현황 산경표에 나오는 지명 현황 대간 및 정맥 합계 분기한 지명 소계 산 봉 령 현 치 기 타 합계 1,600 1,115 481 307 7 89 29 37 12 백두대간 487 364 123 57 4 48 5 8 악1 장백정간 52 36 16 6 8 2 낙남정맥 35 17 18 16 1 1 청북정맥 142 96 46 18 22 6 청남정맥 65 22 43 38 1 1 1 성1, 진1 해서정맥 123 93 30 23 2 1 1 곶1, 험1, 판1 임진북예성남정.. 2011. 5. 23.
3. 『山經表』에 나타난 산맥체계의 특징 3. 『山經表』에 나타난 산맥체계의 특징 산경표에 나타난 산맥체계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줄기의 맥락과 명칭을 체계화하였으니 산줄기를 1개의 대간과 1개의 정간, 13개의 정맥으로 分類하고 이름을 부여하였다. 신경준의 산수고나 동국문헌비고의 여지고에도 산의 갈래와 흐름.. 2011. 5. 23.
2. 山經表는 언제 누가 만들었나 2. 山經表는 언제 누가 만들었나 (현진상 著) 우리 것에 대한 눈뜸과 자연환경 보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백두대간에 대한 논의가 어느 때보다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요즘 논의하고 있는 백두대간은 산경표(山經表)라는 작은 책에 실린 이 땅의 산줄기 분류체계이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산줄.. 2011. 5. 23.
1. 산경표 1. 山經表 산경표(山經表)는 그 글자의 뜻을 풀어 보면 산줄기의 흐름을 나타낸 표라는 뜻이다. 옛 文獻에 언급되고 지도상에 이미 표시되어 왔지만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는 않았던 산의 系譜를 圖表로 정리하고 산줄기 이름을 붙였다(산줄기와 갈래에 관한 내용 정리는 여암 신경준에 의해 1770년.. 2011. 5. 23.
한글산경표에 대하여..... 한글산경표에 대하여..... 여기에 올려진 한글산경표는 한자로 된 朝鮮光文會본의 山經表를 우리가 좀 더 알기 쉽게 또 우리 산줄기의 원전이라 할 수 있는 산경표에 한 발짝 더 다가서고자 그리고 山經表를 理解하고 硏究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글로 풀어썼으며, 우리 산줄기를 알고 익히는데 조금.. 2011. 5. 23.
산경표 91頁 ~ 103頁(금남호남정맥) 2011. 5. 23.
산경표 83혈 ~ 90혈(한남, 금북, 금남호남, 금남정맥) 2011. 5. 23.
산경표 69頁 ~ 82頁(낙동, 한남금북, 한남) 2011.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