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45 산경표 57혈 ~ 68혈(임진북예성남, 한북, 낙동정맥) 2011. 5. 23. 산경표 49頁 ~ 56頁(해서, 임진북예성남정맥) 2011. 5. 23. 산경표 41頁 ~ 48頁(청북, 청남, 해서정맥) 2011. 5. 23. 산경표 33頁 ~ 40頁(백두, 낙남, 청북정맥) 2011. 5. 23. 산경표 25頁 ~ 32頁(장백정간, 백두대간) 2011. 5. 23. 산경표 17頁 ~ 24頁(백두대간) 2011. 5. 23. 산경표 9頁 ~ 16頁(백두대간) 2011. 5. 23. 산경표 1頁~8頁(백두대간-장백정간) 2011. 5. 23. 조선광문회의 산경표 표지 2011. 5. 23. 산경표(山經表)란 무엇인가 ? 산경표(山經表)란 무엇인가 ? 1. 山經表 산경표(山經表)는 그 글자의 뜻을 풀어 보면 산줄기의 흐름을 나타낸 표라는 뜻이다. 옛 文獻에 언급되고 지도상에 이미 표시되어 왔지만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는 않았던 산의 系譜를 圖表로 정리하고 산줄기 이름을 붙였다(산줄기와 갈래에 관한 내용 정리.. 2011. 5. 23. 산경표와 줄기표, 산경도 등에 關聯된 資料들에 대하여.... 산경표와 줄기표, 산경도 등에 關聯된 資料들에 대하여.... 여기에 올려진 산경표와 줄기표, 산경도 등에 關聯된 자료는 박성태 선배님의 홈페이지인 박성태의 두발로 읽은 산경표에 수록되어 있는 자료들이며 사용건에 대하여 문의를 드렸던 바 使用하여도 좋다는 허락을 받았습니다. 좋은 資料를 使.. 2011. 5. 23. 백두대간 첫걸음 - 백두대간의 인식과 기록의 역사 백두대간의 인식과 기록의 역사 ▶ 백두대간이 언제부터 이 땅을 이해하는 지리인식체계로 자리잡게 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간접적인 기록이나 지도 등을 통해 길게는 천 여년이 짧게는 수 백년이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당시의 인식이 현재와 같은 완결된 체계가 아니었.. 2011. 5. 23. 이전 1 ···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