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산줄기와만남/고지도

가벼운 만남 - 옛지도 여행

by 두타행 2011. 6. 2.

가벼운 만남  - 옛지도 여행

 

 지도는 지구 표면의 전체나 일부를 일정 재료(비단 , 종이 등)에 그린 것으로 한 지역의 공간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땅 위에서 이루어지는 정치, 사회, 문화적 모든 현상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표현한 그림입니다. 그러므로 지도는 작성하는 목적이나 시기에 따라 수록한 정보의 내용이 달라지게 되며, 지도가 제작된 시대를 살던 이들의 세계관이나 지리관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옛지도는 한 지역의 박물관이며 훌륭한 역사적 고증자료가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 이후 여러 많은 지도가 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고려 이전의 지도는 거의 전하지 않고 기록을 통해서만 알 수 있고, 현재 전하는 지도들은 대부분 조선시대 이후에 제작된 것입니다. 특히 조선시대 후기에는 많은 지도들이 제작되었고, 현재까지 전해지는 숫자도 많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지도들을 간단히 나누어 봅시다. 첫째로, 세계지도로서 보통 천하도라고 많이 부릅니다. 둘째로, 조선 시대의 이 땅 전체를 그린 조선전도가 있습니다. 셋째로, 도별로 나누어 그려진 도별도가 있습니다. 네번째로, 서울의 모습을 그린 도성도가 있습니다. 다섯번째로 각 지역의 군현들을 묘사한 군현지도가 있고, 여섯번째로 변경의 요새 등 국방상의 요지를 그린 관방지도가 있습니다. 일곱번째로 특수지도나 기타 지도들을 들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지도들을 유형별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세계지도(천하도)  -
지도 보기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세계지도는 내용과 성격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로, 중국을 중앙에 둔 동양(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지도로, 당시인들에게 알려진 세계를 비교적 사실적으로 묘사한 지도가 있습니다. 둘째로 한국에서 독특하게 발달한 상상적 세계지도인 원형 천하도가 있고, 셋째로, 서구에서 도입된 서구식 세계지도를 바탕으로 한 세계지도가 있습니다.


2. 조선전도  - 지도 보기
우리나라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그린 지도입니다. 선조들의 국토인식과 자연관이 반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지도의 완성을 가능하게 했던 과학지식의 수준, 지도제작의 기술, 예술적 표현능력 등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조선전도는 『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후 간략한 지도로서 민간에서 널리 애용된 <동람도>(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동람도>중의 '팔도총도'임.) 계열과 <동국지도>(정척과 양성지), <조선전도(동국대전도)>(정상기), <대동여지도>(김정호) 등 사실적인 지도의 전통이 함께 이어져 내려 왔습니다.


3. 도별도  - 지도 보기
행정구역인 도(道)를 단위로 하여 그린 지도입니다. 도별도도 조선전도와 마찬가지로 간략하게 내용을 싣고 있는 <동람도> 계열과 정상기의 <팔도지도> 계열의 사실적인 도별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8세기 중엽이전에는 주로 <동람도> 계열의 지도가 유행했고, 그 이후 정상기가 북방 지역의 왜곡된 윤곽을 수정하고 훨씬 정교하게 제작한 <동국지도>가 알려지면서 같은 계열의 지도가 이후의 흐름을 주도하게 됩니다.


4. 도성도  - 지도 보기
역대의 수도였던 대도시의 성곽 안쪽을 중심으로 그린 지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조선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서울 도성 내부를 그린 지도를 가리켰습니다. 조선 시대는 중앙집권적 사회로 국토 공간도 서울로 집중되는 구조를 띠고 있었으므로 도성을 그린 지도는 많이 제작되었습니다. 현재의 서울지도와 비교해 보면 서울의 영역이 엄청나게 확장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 군현지도  - 지도 보기
군현지도는 조선 시대 행정구역으로서 통치의 기본 단위였던 부(府), 목(牧), 군(郡), 현(縣)을 대상으로 그린 것으로 '읍지도'라고도 불렀습니다. 전통은 오래일 것으로 짐작되나 현존하는 것은 18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비교적 좁은 지역을 그리기 때문에 회화식 지도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서 전통적인 산수화처럼 그려져 예술품으로 감상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밖에 지도적 성격이 강한 사실적 군현지도들도 제작되었습니다.


6. 관방지도  - 지도 보기
관방지도는 군사적인 목적에 의해 군사시설이나 군사적 요충지를 그린 것입니다.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국토를 수호하는 것은 다른 어떤 일보다 중요했습니다. 이를 위해 지형지세를 파악하고 적절한 장소에 군사 시설을 설치하고 수호하기 위해 지도가 이용되었습니다. 조선 초기 4군과 6진 개척 시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후 국방의 강화를 꾀하던 시절,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후 국방 및 행정력의 강화를 모색하던 시절 등에 특히 관방지도 제작이 활발했습니다.


7. 특수지도 및 기타  - 지도 보기
특수한 목적에 의해, 또는 특수 지역을 그린 지도로서 궁궐도, 관아도, 산도, 천문도, 도로지도, 사찰도, 명승도, 수진본 지도 등이 있습니다. 산도(산도 또는 묘도)는 풍수적 사고가 반영된 지도로서 족보에 수록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집 또는 마을 지도에도 적용되었습니다. 수진본지도는 옷소매에 넣고 다닐 수 있는 휴대용 지도로서 조선 후기 여행이 활발해지면서 다양하게 제작되었습니다. 그밖에 지도와 도리표가 결합된 지도도 있었고, 절을 그린 사찰지도, 요즘의 관광지도라 할 수 있는 명승도 등도 그려졌습니다.

이 곳의 자료는 『한국의 지도 - 과거, 현재, 미래』(국립지리원, 대한지리학회 발행. 2000)와『한국의 옛지도』(영남대학교 박물관 1998) 그리고 『우리 옛지도와 그 아름다움』(한영우 외 효형출판. 1999)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이 자료는 안강님의 홈페이지인 백두대간 첫마당에 실린 자료이며 자료를 사용하여도 좋다는 허락을 받았습니다.
자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신 안강님께 감사를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