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도우미/독도법

9. 완전독도법 - 기호 및 색채

by 두타행 2011. 5. 25.

9. 완전독도법 - 기호 및 색채


1. 기호(記號)
지구표면의 지형지물을 표시하기 위하여 기호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때 지표면에 나타나 있는 자연, 문화적인 특성을 지도에 표현하기 위한 일정한 약속을 기호라고 한다.
지도에는 다양한 형태의 지물을 점, 선, 면으로 된 각종 기호로 표시하고 있다.
지도상에 사용되는 기호는 여러 색깔로 인쇄되며 각 색깔은 여러 종류의 지물을 구분시켜 준다.
가. 선기호(線記號) : 도로, 철도, 행정경계, 지류, 식물, 시, 군, 읍, 면경계
나. 면기호(面記號) : 면적관계, 시가지, 식생(논밭, 과수원, 삼림, 초지, 황무지)개발제한구역
다. 점기호(點記號) : 인문지리 사상의 위치 관계
① 기준점 : 기준점은 삼각점, 수준점, 도근점, 표고점으로 구분된다. 평면 위치는 세계 공통인 경도, 위도나 직각좌표를 사용한다.
- 높이 : 나라마다 선정해 놓은 기준점(수준점)을 사용한다.
② 경도, 위도 원점 : 삼각점의 기준이 되는 원점은 지구상에서 본초자오선에 의한 동경, 서경과 적도에 의한 남북 위도로 나타낼 수 있으나 거리상 불편을 없게 하기 위하여 각 국마다 경도, 위도를 기준한 기준점을 설정해 놓고 이로부터 삼각점을 설정하여 삼각망을 형성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수원 국립지리원에 경도, 위도 원점이 있다.
※ 경도, 위도 원점의 값 : 북위 37°16′31″9034,  동경 127°03′05″1451, 방위각 170도 58분 18.190초(동학산)

 

[그림 - 기호의 바른 위치]

 

③ 삼각점은 국토지리정보원이 실시하는 기본측량에 의한 다각점, 수준점 등과 같이 국가기준점이다.
삼각점은 측량의 규모에 따라 1등삼각점(대삼각일등본점 또는 대삼각본점)과 2등삼각점(대삼각보점), 3등삼각점(소삼각삼등), 4등삼각점의 4등급으로 나누어진다.
삼각점은 직각좌표에 의해서 전개한 위치에 표시하며 국토 전역의 각 지점의 평면 위치(거리)는 바로 삼각점의 경도, 위도를 이용하여 결정된다.
높이의 기준은 m이며 소수점 한자리까지 나타낸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쓰고 있는 삼각망은 일본 육지 측량부가 대한지도 측량을 위하여 1910년부터 1918년에 실시한 것으로 일본 수도인 동경을 기준한 대마도 삼각점으로부터 해상 약 100km 떨어진 절영도와 거제도의 삼각점에 연결하여 우리나라 전역이 측정된 것이다.
현재는 1등∼4등 삼각망도라 하지 않고 정밀 1차 또는 정밀 2차 기준점 망도라고 하고 1차는 삼각점간의 거리가 약 10∼15km, 2차는 1차에서 세분화한 것으로 삼각점간의 거리는 3∼4km 간격의 삼각망을 형성하는데  전국에 설치한 1∼2차 삼각점의 숫자는 약 15,000여개이며 산봉우리나 높은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한가지 의문점은 한국의 경도, 위도 원점은 국립지리원내에 있는데 이 원점을 쓰지 않고 일본 동경을 기준한 원점을 쓰느냐 하는 것이다.
일제 때부터 지금까지 사용해온 위치의 개념을 일시에 바꾸기란 그렇게 간단한 작업이 아니기 때문에 아직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정밀측정에서 우리 나라의 위치가 종전보다 10.405″만큼 +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시 말해서 우리나라 전체가 쓰고 있는 위치(동경)에서 동쪽으로 약 318m(10.405″×30.55m) 더 가 있다는 것이다.
※ 삼각점에 표시된 +는 동서남북의 방향 표시라기보다는 중심의 의미를 갖는다.

 

※ 삼각점 해설
 눈, 비, 안개 운무 등으로 인하여 방향 판독이 어려울 때 주위에 있는 삼각점을 활용하면 됨
1. 삼각점 글씨 상단은 북쪽, 좌측은 서쪽 우측은 동쪽, 아래쪽은 남쪽임(삼각점 대리석의 십자선은 동서남북을 가리킴)
2. 삼각점 대리석 상단은 정확한 높이의 제원을 가지고 있다.
3. 삼각점에 새겨진 글씨에 대하여 알아보면
가. 좌측상단에 [전주]라는 글씨는 1/50,000 지형도의 도엽명이다.
나. 우측 상단의 [24]라는 숫자는 삼각점 등급(1∼4) 앞자리와 고유번호로 조합되어 있으며 모악산에 있는 이 삼각점은  전주지역 2등급 4번 삼각점이라고 추정할 수 있음
다. 좌측 하단 [1984]은 설치한 연도임
라. 우측 하단 [재설]은 전에 있던 것을 다시 설치하였다는 뜻임


[표 - 우리나라 대삼각본점]

④ 수준점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높낮이를 결정하는 기준점으로 우리 나라의 삼각점과 표고점을 비롯해서 모든 높이는 이 수준점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고도 측정을 위하여 전국 주요 국도변에 5,500개를 설치함. 높이의 기준은 m이며 소수점 한자리까지 나타낸다.
[삼각점과 수준점의 비교]
- 삼각점 : 경도, 위도 원점에서 시작된 길이의 개념, 또한 길이에 의한 넓이도 계산할 수 있으며 도상에 높이도 표시된다.
- 수준점 :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한 높이의 개념임
⑤ 도근점
지형 측량에서 기준점이 부족한 경우 설치하는 보조기준점으로 이미 설치한 기준점만으로는 세부 측량을 실시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에 이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새로운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관측하여 결정되는 기준점을 가리킨다.

⑥ 수준원점
고도란 기준면으로부터 어느 지점까지의 수직 거리를 말하는데 이것을 표고, 해발이라 한다.
기준면은 고도를 결정하는데 표준을 삼기 위한 것이며 해수면의 평균 수위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고도는 육지에서는 인천만의 평균 해면을, 제주도에서는 제주만의 평균 해면을 기준 함
이 기준면 설정은 1914년부터 1916년까지 인천항의 조위(潮位) 측정을 해서 평균 해수면을 산정하였다. 수준 기점(인천시 중구 항동 1가 2번지)을 결정하여 잠정적으로 국토의 표고 기준치로 이용하고 있는데 그 후 이 기점을 기준으로 정밀 수준 측량을 하여 표고원점 26.6871m 를 결정하였다. 이것이 현재 우리나라의 수준원점으로 인천시 남구 용현동 253번지 인하대학교 교정내에 설치되어 있다.
⑦ 표고점
수준점에서 측정한 높이가 정확하게 나타나 있는 지점으로 어느 지역의 높이를 알기 위해서 꼭 필요한 곳에 나타낸다. ×로 표시하며 표시단위는 m이며 소수점 한자리까지 나타낸다.

 

2. 색채(色彩)
색채는 지도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대축척 지형도에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흑색 : 문화적 인공적 지물
청색 : 호수, 강, 늪 등 배수관계
녹색 : 수림, 과수원 등 식물관계 및 고속도로
갈색 : 기복 및 고도
적색:주요 도로, 밀집된 건물지역 및 특수지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