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항(수족관) 준비물 및 세팅방법
※ 열대어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며 일반 물고기도 이와 같이 하면 된다.
○ 어항(수족관) 준비사항
1. 수족관(키우고자 하는 물고기에 맞게 수족관을 준비하면 된다)
- 물생활에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이 미니어항을 선택했다가 나중에 큰 어항으로 바꾸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물 관리기 어려울 뿐더러 수질오염이 빨리 진행되는 것을 느끼기 때문이다.
미니어항보다는 1자 수족관, 1자 반 수족관, 2자 광폭 수족관을 추천한다.
수족관이 크면 클수록 수질오염이 적고 물 관리하기에 편리다.
2. 바닥재 : 흑사, 오색사, 금사, 백사, 굵은 모래, 자갈, 샌드, 소일, 노멀 등 여러 종류의 바닥재가 있는데 사육하고자 하는 물고기에 맞게
바닥재를 고르면 된다.
3. 여과기 및 산소발생기(기포기) : 여과기는 수족관 물을 여과하는 동시에 산소발생을 하는 기구로서 측면식여과기 등 여러 종류의 여과기가 있다.
여과기의 종류 : 외부여과기, 걸이식여과기, 스폰지여과기, 저면식여과기, 측면여과기, 상면여과기 등이 있는데 적은 수조일지라도 걸이식여과기와 스폰지여과기 2개를 함께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생물학적 여과 기능이 좋다)
1개의 여과기를 사용할 때보다 2개의 여과기를 함께 사용하면 수조환경을 매우 좋게 만든다.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걸이식여과기 - 생물학적, 물리적 여과력이 좋다(여기에 있는 사진은 트로피쉬넷에서 캡처해 온 사진임)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폰지여과기 - 생물학적, 물리적 여과력이 좋다.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저면식여과기 - 생물학적, 물리적 여과력이 좋다.
- 측면여과기 - 물리적 여과력만 조금 있을 뿐이다(여과력이 미미해서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4. 온도계(필요시 구입)
5. 히터 : 60W, 100W, 200W 등 여러 전력의 히터가 있는데 수조관 크기에 맞는 히터를 사용하면 된다(수족관의 물 적정온도는 24도에서 26도 사이를 유지해 줘야 하므로 물의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히터를 사용하여 물 온도를 맞춰줘야 한다)
- 50급 히터
6. 에어관련용품 : 에어분사기 2구 1개(스폰지여과기나 저면식여과기를 사용할 때 필요하다), 에어스톤(콩돌), 에어호스
- 2구짜리 산소발생기
- 산소발생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에어스톤(콩돌),
7. 약품 : 물갈이 약, 염소중화제, 박테리아활성제, 종합치료약품 등
8. 기타 : 사이펀(수족관 청소기). 뜰채, 부화통이나 산란통(새끼나 알을 낳을 경우에 필요함)
- 수족관 청소기 사이펀
- 뜰채
9. 수초, 인조수초 등
- 각종 수초
10. 유목
- 각종 유목
11. 필요시 조명등을 설치한다.
12. 걸이식여과기를 사용할 경우 여과제를 준비한다.
- 여과력이 좋은 시포락스 여과제(걸이식여과기에 들어 있는 스폰지를 빼고 대신 여과제를 집어 넣으면 좋은 여과력을 발휘한다)
○ 수족관 세팅방법
1. 어항, 히터, 여과기, 여과제 등은 간단하게 맑은 물로 세척한다.
2. 바다재는 맑은 물로 4~5차례 헹궈낸다. (세제사용 금지)
2. 어항 옆면에 히터와 여과기를 설치한다.
- 산소발생기는 여과기와 콩돌 부분을 연결한 다음 수족관 옆 바닥 적당한 곳에 놓으면 된다.
- 산소발생기의 놓인 곳이 수족관보다 너무 낮으면 물이 역류할 수도 있다.
- 콩돌은(에어스톤)바닥재를 깐 후 적당한 위치에 놓으면 된다.
3. 어항 바닥에 난석, 흑사, 모래 등을 약 5cm 두께로 깐다.
4. 수족관에 물을 반쯤 채우고 수초나 인조수초를 심는다.
5. 수족관에 물을 완전히 채운다.
6. 전원과 연결하여 여과기 또는 산소발생기, 히터 등을 작동시킨다.
'여정&흔적 그리고 모습 > 물생활 입문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족관 관리 - 물잡이 (0) | 2017.07.20 |
---|---|
물고기 관리 - 합사가 가능한 열대어 알아보기 (0) | 2017.06.20 |
수족관 수질관리 - 수족관 물은 어떻게 갈아야하나요? (0) | 2017.06.16 |
수족관 수질관리 - 수족관 백탁현상(탁한 어항물) (0) | 2017.06.14 |
수족관(어항) 물잡이와 관련한 상식 (0) | 2017.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