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도우미/독도법

13. 완전독도법 - 좌표

by 두타행 2011. 6. 1.

13. 완전독도법 - 좌표


- 지형지물의 좌표 결정 방법 또는 반대로 지형지물에 대하여 이미 결정되어 있는 좌표를 가지고 목적지를 찾아가는 방법에 알아보자. 좌표는 군사목적상 사용되고 있으나 지도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지리좌표
가장 오래된 위치 결정법은 지리좌표법이다.
지구 둘레에 동서로 연결된 둥근 원과 적도에서 수직으로 교차하며 북극과 남극으로 모이는 남북을 연결하는 등근원을 그림으로서 지구 표면상의 어떠한 지점도 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참조선의 망을 형성하게 된다.
적도선으로부터 북 또는 남으로 어떤 지점까지의 거리는 위도로 표시되며 적도와 평행한 지구 둘레의 둥근선을 위도선이라 한다.
반대로 적도선과 수직으로 동 또는 서로 어떤 지점까지의 거리는 경도로 표시되며 위도선에서 수직으로 양극을 지나는 지구 둘레의 원들을 경도선(경도자오선 또는 자오선)이라 한다.
이들 자오선 중의 하나를 본초자오선이라 하며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를 통과하고 있다.

 

 

지리좌표는 각각 도로 표시된다.
- 원=360도, 1도=60분, 1분=60초
기호는 °(도), ′(분), ″(초)로 나타낸다.

 

위도선(위도)
적도선에서 0°로 시작하여 북위 90°, 남위 90°이다. 위도는 적도로부터 동일하게 도수가 붙기 때문에 남위(S), 북위(N)의 방위를 반드시 표시해줘야 한다.


경도선(경도)
경도선은 본초자오선에서 0°로부터 시작하여 지구 둘레를 동서 양쪽으로 측정하는데 동쪽으로 각각의 자오선(경도선)에 180°까지의 숫자를 붙여서 동경(E)이라고 하고 서쪽으로 각 자오선(경도선)에 180°까지의 숫자를 붙여서 서경(W)이라 하며 위도선과 마찬가지로 동경, 서경을 구분해 주어야 한다.
- 위도 1°=111km, 1′=1,850m, 1″=30.8m(위도로 나타낸 거리는 위도의 도수가 클수록 약간씩 길어지지만 지구상 어느 지점이든 거의 일정함)
눈금 표시에 주어진 각 수치를 보면 간격이 나오는데 1:25000 지형도는 2′30″이고 1:50000 지형도는 5′의 간격으로 나타나 있다.
(예시) 지도상 간격이 5′일 경우 초로 환산한다면 5′×60″=300″가 되며 300mm가 됨.

 

1. 정해진 위치에 대한 좌표결정 방법
가. 좌표를 결정하고자 하는 지점과 인근의 위도선과 경도선을 확인한다.(지도의 모서리나 측정하기 곤란한 지점에는 좌표측정지점을 경도와 위도에 평형되게 +로 길게 그은 다음 측정하는 것이 좋다)
나. 그 지점이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지도상에 표기된 위도(상하), 경도(좌우)의 수치를 읽는다.(지리좌표를 읽고 쓸 때에는 위도가 먼저이고 경도가 나중임)
(예시) 위도=(하)35°30′00″  (상)35°35′00″
      경도=(좌)128°55′00″  (우)129°00′00″
다. 이들 좌표간의 간격을 결정한다.
좌표간 등분 도수
- 1:25000지형도는 한 칸이 2′30″이므로 초로 환산하면 150″가 된다(전체 도폭은 7′30″×7′30″)
- 1:50000지형도는 한 칸이 5′이므로 초로 환산하면 300″가 된다(전체 도폭은 15′00″×15′00″)
라. 30cm 자를 선정한다.(30cm×10mm=300mm이며 1mm가 1″가 된다)
마. 위도를 결정하기 위하여(그림 59 참조)
1. 앞 나에서 위도 35°30′00″의 하단 위도선에 30cm 자의 눈금 0을 맞추고 위도 35°35′00″의 상단 위도선에 자의 눈금 300(30cm)을 맞춘다.
2. 두 위도선상에 눈금 0과 300을 맞춘 채로 자를 유지하면서 좌표를 결정하는 지점에 자의 눈금이 겹칠 때까지 살며시 이동시킨다.
3. 자의 눈금 0으로부터 초수를 읽으면 예를 들어 200이 나오면 다시 말해 200mm=200이다.
이것을 분, 초로 환산하면 200″÷ 60=3′20″
4. 하단 위도선의 값에 3에서 측정된 분과 초를 더해주면 위도 35°30′00″+3′20″= 35°33′20″
즉 위도는 북위(N) 35°33′20″이다.(위도의 수치는 적도에서 북쪽 또는 남쪽으로 갈수록 더 커진다)
바. 경도를 결정하는 방법도 위도의 결정방법과 같다(그림 60참조)

동경 128°55′00″
208″÷60=3′28″, 경도는 동경(E) 128°58′28″이다.
사. 정해진 위치에 대한 지리좌표는 북위(N) 35°33′20″, 동경(E) 128°58′28″이다.

 

[그림59 - 정해진 위치에 대한 좌표결정(위도)]

 

                          [그림60 - 정해진 위치에 대한 좌표결정(경도)]

 

2. 정해진 좌표에 대한 위치결정 방법
(예시) 북위(N) 35°37′21″, 동경(E) 128°52′59″의 지점을 찾을 경우
가. 북위 35°35′00″와 35°40′00″의 위치를 지도상에 위도선과 경도선 좌우에 표시된 수치를 읽는다.
나. 30cm자를 이용하여 위도선과 경도선을 지도상에 그린다(그림 61 참조)
1. 주어진 위도 35°37′21″에서 하단 위도선의 수치 35°35′00″감하면 35°37′21″- 35°35′00″=2′21″가 되고 이것을 초로 환산하면 2×60+21=141″가 된다.
2. 자의 눈금 0을 35°35′00″선에 맞추고 눈금 300을 35°40′00″선에 맞춘 다음 지도상에서 자의 141mm 지점에 점을 표시한다.
3. 위 2항에서 2개의 상하부 위도선을 벗어나지 않도록 자의 눈금과 0과 141을 유지하면서 자를 좌나 우로 조금씩 움직여 2항을 반복한다.
4. 표시한 두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한다.
다. 경도에 대해서도 위도와 동일하다(그림 62 참조)
라. 구해진 두 직선의 교차점이 구하고자 하는 지점이며 위치는 구만산 정상이다(그림 61, 62 참조)

 

 

 

3. 다른 방법으로 지형도에서 지적좌표(경위도) 및 직각좌표를 구하는 방법
지형도에서 특정 지점(행정구역) 및 지형지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리좌표 및 직각좌표를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비례식으로 계산하면 구할 수 있으며, 지형도의 축척 및 스케일(축척 자)의 눈금 정도 등에 따라서 결과에 차이가 있습니다.
가. 구하고자 하는 지역 또는 지물이 위치한 지형도(1/50,000내지 1/5,000)를 구입
나. 구하는 지점의 위치 표시
구하고자 하는 지점을 “+”나 특정한 mark로 표시
다. 계산
가. 지형도 도곽 상·하단에 기재된 경위도 수치 확인 및 그 차이 계산
나. 지형도 도곽의 크기 및 구하는 점을 정밀한 자로 잰다.
다. 비례법으로 계산
라. 계산예시(1:50000지형도)
ㅇㅇ시의 행정경계 계산
가. 도곽의 상하단 경위도 좌표 및 차(도폭차)
경도차= 36°00′ - 35° 45′=15′
위도차=127°00′- 126°45′=15′
나. 도곽의 크기 : 가로 40㎝, 세로 50㎝
다. 좌측상단으로부터 각 지점의 거리
지점① : 가로(X1)=20㎝, 세로(Y1)=15㎝
라. 경위도 계산
경도 = 126°45′+(20÷40×15′) = 126°52′30˝
위도 = 36°00′-(15÷50×15′) = 35°55′30˝
※ 직각좌표는 위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

'산행도우미 > 독도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완전독도법 - 방 향  (0) 2011.08.04
14. 완전독도법 - 축척과 거리  (0) 2011.08.04
12. 완전독도법 - 경사  (0) 2011.05.30
11. 완전독도법 - 등고선  (0) 2011.05.27
10. 완전독도법 - 고도와 기복  (0) 2011.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