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배술의 역사
고려시대의 진상주 문배술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선조, 군상, 상전에 최고의 음식과 정성을 올리는 전통적인 풍습이 있고 그 중 음에
해당하는 으뜸은 술을 말하고 있습니다.
1,000년 전 문배술도 그러한 풍습과 전통속에 창출된술입니다. 고려시대로 거슬러가면 그 당시 신하들은 왕에게 앞다투어 좋은 술을 진상하며 벼슬을 얻었는데 그 중 한 가문의 술이 바로 ‘문배술’이었습니다.
그 가문에서는 양조비법을 비밀로 하고 왕에게만 ‘문배술’을 진상하여 왔으나 고려 중엽, 후손들에 의해 널리 파급되었다고 합니다.
문배술의 설화
고려중엽의 시인 김기원은 대동강변 연광정에서 문배술로 흥을 돋우다가 ‘大野東頭點點山 長城一面落落水 -대동강 동쪽으로는 끝없는 산이 이어지고, 성 한 쪽으로는 강물이 질펀하게 흘러가는데’ 라고 운필하고 한숨 돌리기 위해 옆에 앉은 기생에게 문배술을 따를 것을 명하고
붓을 잠시 멈추었다. 헌데 문배술 맛이 워낙 좋았던지라 동석한 시인과 화가들이 서로 앞다투어 문배술을 다 마셔버려 술이 다 떨어져버렸고 이에 김기원은 ‘술이 떨어지고 없으니 시흥도 일어나지 않는다’며 붓을 던지고 말아 이 시는 결구가 없는 미완의 시로 남았다는 이야기가 전해내려온다.
해방 이후의 문배술
일제시대의 전통주 말살정책에도 불구하고 그 비법을 자손에게 전수하여 해방 이후 2대 이병일 옹께서 평양근처에 평촌양조장을 설립하여 문배술을 생산 할 수 있었습니다. 그 후 3대 이경찬 옹께서 그 양조장을 이어 받아 연생산량 3만석, 대지 7,000평, 건평 1,000평 종업원
수 80여명의 규모로 번창시켰고 1년치 세금이 평양시 일년 예산과 동일할 정도로 성장하였습니다.
한국전쟁 이후부터 현재까지
1950년 한국전쟁으로 모든것을 버리고 남쪽으로 내려와 전쟁이 끝나자 3대 이경찬옹은 다시 집안의 가업을 잇기 위해 서울에서 양조장을 설립, ‘거북선’이라는 이름으로 문배술을 다시 생산하였습니다.
그러나 1965년 양곡관리법으로 희석식 소주, 맥주, 막걸리를 제외한 곡식으로 만드는 모든 술의 생산을 금지하게 되었고 이후 20여년간 문배술은 또다시 생산이 중단되었습니다.
1986년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1986년 문배술은 오랜 역사를 통해 이어져 온 우수성을 인정받아 3대 이경찬 옹께서 중요무형문화재 제 86-가호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었고 1990년 비로소 정식으로 전통주 제조허가를 받아 서울 연희동에서 양조원을 다시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1995년 전통식품명인(식품명인 제 7호)
1995년 전통식품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농림수산부장관 으로부터 4대 이기춘 문배주양조원 대표가 전통식품명인 (식품명인 제 7호로)지정되었습니다.
문배술의 특징
과실향 가득한 문배술 문배술은 찰수수, 메조를 누룩과 발효 후, 증류하여 얻은 순수한 증류주 입니다.
일체의 첨가물 (발효 혼합물에 첨가된 곡류 이외의 전분 또는 설탕)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가향 과정을 거치지 않아 맑고 깨끗합니다.
문배술은 쌀만을 빚어 증류한 다른 소주와 향과 맛이 다릅니다. 우아하고 그윽한 배 향은 문배술의 특징입니다.
과실류의 꽃에서 느껴지는 상큼하고 농밀한 향은 입안 가득 긴 여운으로 남습니다.
문배술은 물처럼 맑고 깨끗하지만 힘이 넘치고 풍부한 풍미를 가지고 있는 술입니다.
문배술40을 즐기는 법
40도 문배술은 직관적인 달달한 향이 주를 이룬다. 배, 사과 그리고 과실 꽃 향기다. 그 뒤를 은은히 받치는 향은 카르다몸, 정향, 팔각과 같은 향신료 뉘앙스다. 한 모금 들이키면 강한 알콜 기운과 함께 강한 기운이 느껴진다. 뜨거운 생강맛과 구수하고 담백한 수수향이다. 이런 향 덕분에 팔각과 같은 향신료를 주로 쓰는 중국 음식, 특히 냉채류와 합이 맞는다. 문배술의 출신에 맞게 북한 음식과는 끈끈한 애착 관계에 있다. 차갑게 식힌 제육, 매콤한 홍어무침, 대창 순대가 그 예다. 넓게 보면 보통 재료 하나의 맛을 살린 요리보다 복합적인 재료와 향을 쓴 요리가 잘 어울린다.
문배술23/25을 즐기는 법
40도 문배술이 개성이 확실한 주연이라면 23/25도 문배술은 씬스틸러처럼 맛깔나게 주연을 뒷받침해주는 조연이다. 알콜 도수가 상대적으로 낮아 40도 문배술과 같은 단맛은 두드러지지 않는다. 과실보다는 꽃에 가깝게 은은하다.
40도 문배술과 마찬가지로 수수의 담백하고 구수한 향이 느껴지지만 지배적이지는 않다. 술의 감칠맛을 돋우는 보조적인 역할 정도다. 23/25도 문배술은 어울릴 수 있는 음식의 폭이 넓다. 중식보다 향이 덜한 일식도 좋은 선택지다. 담백한 흰살 생선류는 기본, 기름기가 도는 방어나 참치 뱃살, 그리고 미네랄 풍미가 도는 굴, 새조개, 홍어도 문배술과 잘 어울린다. 젓갈을 많이 쓰는 남도 음식과도 궁합이 좋다. 향이 맑다보니 철분기가 느껴지는 소고기보다는 곡물 뉘앙스의 단맛이 도는 돼지고기가 더 맞다.
문배술의 기능 보유자
역사·예술·학문적 가치를 갖는 무형문화재 연극·음악·무용·공예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무형문화재 가운데 그 중요성을 인정하여 국가에서 지정한 문화재이다.
-문화재는 국가 지정문화재와 시·도 지정문화재로 구별된다- 문화재보호법에서는 문화재청장이 무형문화재 가운데 중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한다.
이때 그 대상은 기·예능을 보유한 자연인이며, 이들을 흔히 인간문화재라고 부른다.
문배술은 그 가치를 인정받아 중요무형문화재 제 86-가호, 대한민국 식품명인 제 7호로 지정되었다.
'여정&흔적 그리고 모습 > 우리 전통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전통주 - 전주 이강주(국가지정 전통식품명인 제9호) (0) | 2020.03.02 |
---|---|
지역별 전통주 종류 및 판매처 – 서울, 경기도 지역 (0) | 2020.02.28 |
우리 전통주 - 민속주 안동소주(국가지정 전통식품명인 제20호) (0) | 2020.02.18 |
지역별 전통주 종류 및 판매처 – 경상도 지역 (0) | 2020.02.18 |
우리 전통주 - 명인 안동소주(국가지정 전통식품명인 제6호) (0) | 202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