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도우미/등산지식

매듭의 종류(보강된 자료)

by 두타행 2014. 10. 23.

 

[매듭의 종류]

 

 

1. 막 매듭( OverHand Knot )

 

매듭을 사용할 때 등 여러가지 매듭을 하고서 마지막에 옭매듭을 하여서 매듭이 풀리는 것을 예방한다.

 

[등반시 힘을 받아 조여지면 잘 안 풀리는 단점이 있다.]

 


 

2. 8자 매듭( Figure Eight knot )

 

이 매듭은 로프와 로프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 사용시 매듭이 풀리지 않으며 힘을 받아 조여진 후에도 쉽게 풀 수 있다.

 

따라 매기방법은 끝줄로부터 계속 원줄을 따라가면 된다. 선등자나 후등자가 안전벨트에 직접 묶을 때 주로 사용되며 지형

 

지물이나 확보물에 자일를 고정시킬 때에도 사용된다. 매듭 중 인장 강도가 가장 크다.

 

장점 : 안전벨트가 없을 때, 직접 몸에 연결할 때, 줄의 가운데에 맬 때, 확보물에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데, 매기가 간단하며

 

안전도가 높고 충격에 강하다.

 

단점 : 매듭이 크고 복잡하며 매듭 조정이 번거롭고 줄의 길이가 많이 소요된다.

 

 

 

-8자 연결매듭

 

자일과 자일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 사용시 매듭이 풀리지 않으며 힘을 받아 조여진 후에도 쉽게 풀 수 있다. 등반시 권장

 

하고싶은 매듭이다. 먼저 A 자일의 한쪽 끝부분에 한가닥의 8자 매듭을 느슨하게 만든다. 다음 B 자일의 한 끝으로 "되따라

 

들어가기"를 한다. 이렇게 두 자일이 서로 물고 물리면서 안전하게 하나의 자일로 연결된다.

 

주로 하강용 자일을 만들때 사용하는데, 8자 매듭의 장점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매듭이다.

 

 

 

-8자 되감기 매듭

 

강도가 높고 보울라인 매듭보다 잘 풀리지 않아 등반용 주자일을 안전벨트에 직접맬때 (카라비너 없이) 사용한다.

 

우선 자일 한겹으로 8자매듭을 만든후, 자일의 끝 부분을 되따라 들어가면, 8자 고리 매듭과 같아지는데, 물론 되따라 들어

 

가기 전에 안전벨트의 고리 속을 통과해야 된다.

 

 

 

 

3. 보울라인 매듭( The Bowline knot )

 

고리를 내어 주는 매듭으로 등반자가 안전벨트에 고정하고자 할 때에 끝 부분을 반드시 다시 한번 감아서 옭 매듭 해주어

 

안전한 매듭이다. 매듭 중 가장 잘 풀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장점은 고리의 조절이 쉽고 매듭후 조여들지 않으므로 벨트

 

없이자기 몸에 직접 묶을 때 사용하면 적합하다.

 

선등자나 후등자가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매듭으로 어두운 곳 에서도 능숙하게 할줄 알아야 한다. 줄을 안전벨트에 연

 

때, 안전벨트가 없어 직접 몸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매듭이다. 따라서 워킹산행시 곧바로 자기몸에 묶을때 적합하며

 

정상적인등반에서는 사용치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자일을 안전벨트에 묶을때 이 매듭을 쓰는 이들이 있으나

 

8자 되감 매듭이 더 안전하다. 쉽게 조일 수 있으나 줄이 뻣뻣할 경우 풀릴 수 있기에 줄 끝의 여분으로 옭매듭을 해준다.

 

또한 그림처럼 고리 부분을 이중으로 묶어 매듭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이중보울라인 매듭( Bowline on a Bight knot )

 

자일 가운데를 두 줄로 만들어 안전벨트에 바로 묶는 매듭으로 매듭을 한 다음에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옭매듭이나 카라

 

비너를 걸어서 마무리한다.

 

 

4. 피셔맨 매듭( Fisherman's knot )

 

어부들이 낚시줄을 이을 때 사용한다는 매듭법인데, 자일과 자일을 연결할 때와 롤 슬링을 연결할 때 주로 사용하는 연결

 

매듭이다. 한번씩 감으면 피셔맨, 두번씩 감으면 이중 피셔맨 매듭인데, 매듭의 장점은 매듭 하기가 쉬우며 한번 매듭을

 

지어 힘을 가하면 가할수록 단단하게 조여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 사용 후 쉽게 풀리지 않는 단점이 있다.

 

굵기가 작은 롤(코드) 슬링을 매듭할 때에 적합한 매듭으로서 보조줄로 고리를 만들 때나 긴 하강을 위해 두개의 줄을 이

 

용한다. 하지만 하강용 자일을 연결할 때는 이 매듭보다 8자 연결매듭을 사용하는 편이 낫다. 매듭을 한 후 끝줄

 

의 여분이 짧을경우 풀릴 위험성이 있으므로 끝줄을 5~16cm 정도 남기는 것이 안전하며 옭매듭으로 마무리 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5. 사각매듭( Square knot )

 

일명 Reef Knot로프를 이을 때 쓰는데 다만 로프의 굵기나 재질이 같아야 효과가 있다. 하중이 걸리면 비교적 풀리기 쉬우

 

므로 반드시 마무리 매듭을 해야 한다. Reek knot라고도 불림 . 운동화끈 매듭으로 많이 쓴다.

 

 

6. 에반스 매듭( Evans knot )

 

자일 끝을 이용해서 고리를 만드는 매듭으로 자일을 당기면 고리가 조여 들고, 풀 때는 고리에서 카라비너를 빼낸 다음

 

자일만 당기면 매듭이 저절로 풀리는 특징이 있다. 나무 밑둥 등에 자일을 돌려 묶을 때나 안전벨트에 줄을 연결할 때 사용

 

한다. 충격이 가해지면 매듭의 고리가 죄어들기 때문에 몸에 직접 매어서는 안 된다 죄수를 교수형할 때 쓰던 매듭이다.

 

 

 

7. 까베스톤 매듭( Clove hitch knot )

 

확보물에 로프를 고정시킬 때와 자기 확보시에도 사용한다. 선등자나 후등자 확보시에도 반 까베스똥 매듭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매듭이다. 매듭의 장점은 매듭사용 후 잘 풀어지며 확보시에는 많은 힘을 들이지 않아 짐을 올릴때 이용 범위

 

넓고 조작도 간단하며 제동이 잘 되는 장점이 있다. 자기확보줄이 거추장스러워 안전벨트에 연결된 주자일로 직접 자기

 

확보를 할때 사용되기도 한다. 클로브 히치 매듭(Clove hitch knot )이라고도 한다. 두 고리를 하나의 고리로 합치는 것인데,

 

마치 창문을 열듯 서로 겹쳐지게 하면 까베스똥 매듭이 책갈피를 닫듯 서로 겹쳐지게 하면 반까베스똥 매듭이 된다.

 

 

 

 

8. 반까베스톤 매듭( half Clove hitch knot )

 

선등자나 후등자의 확보시 사용. 고층빌딩 외벽 청소작업 하는 사람들이 많이 사용한다.

 

반 까베스땅 매듭카라비너에서 쉽게 자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추락제동용 매듭으로 적은 힘으로도 제동이 잘 된다.

 

뮌터 히치(Munter hitch) 매듭, 또는 하프 크로브 히치 매듭(Half Clove hitch knot)이라고도 한다.

 

상대방 (특히 후등자)의 확보를 볼 때 많이 사용하며, 이중자일(두 가닥) 사용시에는 사용할 수 없다.

9. 프루직 매듭( Prusik knot )

 

매듭은 고정된 자일을 타고 오르내릴 때 등강기가 없는 비상시에 사용하거나 또는 자기 확보줄로도 많이 사용하며 쥬마

 

대용으로 구조용이나 등반용으로 사용한다. 오버행을 하강할때 자일이 엉겨 있거나, 자일 끝이 바닥에 닿지 않은 경우에

 

수 있다. 수직으로 늘어진 자일에 코드 슬링(프루직)을 두세번 감고 밑으로 잡아당기면 감긴 매듭이 수직 로프에 꽉 물

 

려서 흘러내리지 않고, 반대로 힘을 빼면 매듭이 느슨해져 감긴 슬링을 위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코드 슬링의 굵기는

 

로프 굵기의 절반 정도가 제일 효과적이다. 코드 슬링이 너무 굵으면 제동이 되지 않아 위험하다.

 

즉, 주 자일굵기가 10mm일 때에는 프루직 슬링의 굵기는 주자일보다 가는 5∼7mm가 적합하며 코드 슬링을 사용해야

 

매듭이 가능해진다. 하중을 풀고 손으로 밀면 줄을 따라서 자유스럽게 움직이지만 체중이 걸리면 밑으로 미끄러져 내

 

리지 않는다. 하중이 충격적으로 걸릴 경우 제동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줄이 얼어붙은 상태에서도 제동이 잘 안된다.

 

등반자가 추락시 자신을 스스로 구할 수 있으며, 추락한 동료나 짐을 끌어올릴 때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10. 클램하이스트 매듭( Klermheist knot )

 

프루직 매듭이나 바흐만 매듭과 같은 용도로 쓰이고 위아래로 움직이기가 편하지만 마찰 때문에 연결줄이 많이 상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손으로 조작하기가 어렵긴 하나 감는 횟수에 따라 다양한 마찰을 줄 수 있고, 하중이 걸린 후 프루직 매듭

 

보다 풀기가 쉽다.

 

 

 

11. 바흐만 매듭( Bachmann knot )

 

카라비너에 롤 슬링이나 테이프 슬링을 걸어 주자일에 돌려주면 되는데, 프루직 매듭보다 매듭을 위아래로 움직이기 쉽고

 

무게가 걸린 다음에도 매듭이 느슨해진다.

 

 

 

12. 터벅 매듭( Tarbuck knot )

 

줄을 팽팽하게 당겨맬 때 쓰는 매듭이다. 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어 자기 확보줄에도 사용하고

 

버팀줄을 맬때, 현수막을 달때 말고도 많은 곳에 쓸 수 있다.


 

13. 테이프 매듭( Tape knot )

 

테이프 슬링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힘을 가하면 가할수록 조여드는 장점이 있으며 주로 슬링을 묶을 때 사용된다.

 

만드는 법은 먼저 한 테이프 슬링의 한쪽 끝부분에 옭매듭을 느슨하게 한 다음, 다른 한 끝으로 '되따라 들어가기'를 한다.

 

이 매듭은 등반 중느슨해지지 않았는지 자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되감기 매듭, 혹은 링밴드(Ring Band) 매듭이라고도 한다.

 

 

 

14. 나비 매듭( Butterfly knot )

 

오므라들거나 움직이는 경향은 없으나 몸에 직접 감는 경우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안전벨트와 연결 하거나 고정 로프

 

중간의고정용 매듭으로 사용한다.

 

 

 

15. 아카데미 매듭

 

서로 다른 두 줄을 이을 때 쓰는 매듭으로 사각 매듭과 비슷하지만 가는 줄을 한번 더 돌려 매듭을 해야 한다.

 

겨울철에는 자일이 얼어 매듭이 잘 풀리지 않는데 아카데미 매듭은 매듭을 쉽게 풀 수 있는 좋은 점이 있다. 역시 매듭을

 

한 다음에 자일 끝을 꼭 옭매듭으로 마무리한다.

 

 

 

16. 거스히치 매듭( Girth hitch knot )

 

이 매듭은 나무에 연결줄을 두를 때나 슬링을 안전벨트 걸이에 걸 때, 슬링 두 개를 길게 이을 때와 같이 여러 용도로 많이

 

쓰이고 있다

17. 오버핸드 슬립 매듭

 

나무나 하켄과 같은 확보물에 거는 매듭이다.

 

 

18. Releasable Knot(풀어줄 수 있는 매듭)

 

로프를 늦추어 주기를 원하는 파트너에게 로프를 풀어 줄 때 사용.

 

 

19. 클로버 히치 ( Ciove hitch )

 

줄을 고정할때 많이 사용 로프의 임시 고정용, 자기확보용

 

 

 

20. Farmers hitch

 

 

 

21. 압박 히치( Constrictor Knot )

 

묽을려고 하는 대상에 줄을 단단히 죄여주길 원할때 사용

 

 

 

22. 히빙라인 매듭 ( Heavng Line Knot )

 

줄을 던질때 줄끝에 무게를 주기위해 사용

 

 

 

23. Buntline Hitch

 

매듭을 역시 카라비너나 링에 고정하는 매듭